서울시에서는 안심 집수리 보조사업으로 반지하 주택이나 오래되어 주거가 취약한 가구를 대상으로 집수리 비용을 지원해 주고 있습니다. 서울시 전체 지역을 대상으로 하며 공고일 기준으로 10년 이상 된 저층주택이 대상입니다. 주택에 문제가 있다면 집수리 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지를 우선 확인해 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집수리 지원금 신청 방법
서울시 집수리 지원금을 신청하려면 집수리닷컴 홈페이지에서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신청할 대 안심 집수리 보조사업 참여 신청서와 몇 가지 서류를 첨부해야 합니다.
집수리 지원금은 일정 기간에 신청을 받습니다. 따라서 모집공고를 확인한 후에 신청을 해야 합니다.
집수리 지원금 신청 대상
집수리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대상은 취약가구 거주 주택과 반지하 주택인 경우 해당이 됩니다.
- 취약가구 거주주택: 중위소득 70% 이하인 가구의 주택으로 자치구의 추천을 받아야 합니다. 자치구별로 20 가구 내외로 추천을 해주고 있습니다. 취약 가구는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중증 장애인, 65세 이상 고령자, 다자녀가족, 한부모가족, 다문화가족이 해당됩니다. 허가가 나지 않은 건출이나 비주거용 건축물, 옥탑층은 제외가 됩니다.
☞ 중위소득 70% 확인하기 - 반지하 주택: 건축물대장 및 현황을 보면 지하층에 해당하는 주택으로 자치구별로 20 가구 내외를 추천해주고 있습니다. 주거용이 아닌 창고 등의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집수리 지원 금액 및 절차
구분 | 지원 비율 | 최대지원금액 |
---|---|---|
주거 취약가구 | 공사 비용의 80% | 세대 당 1,000만 원 |
반지하 주택 | 곻사 비용의 50% | 세대 당 600만 원 |
주거 취약가구는 주택 성능을 개선하는 공사와 편의시설을 설치하는 공사를 합니다. 또 빗물이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안전시설을 설치하고, 집안 내부에는 싱크대, 세면기, 양변기를 교체하는 공사를 진행합니다. 반지하 주택은 주택 성능개선 공사와 편의시설 설치공사, 빗물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시설을 설치합니다. 일반적으로 거주하는 주택의 내부를 공사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주거환경을 위해 외부공사가 필요하다면 외부공사를 할 수도 있습니다.
집수리 지원금을 받기 위해 신청서를 제출하면 집수리 전문가에게 공사 컨설팅을 의뢰합니다. 업체가 선정이 되면 서류와 현장조사를 통해 보조금 심의를 거쳐 공사를 진행하게 됩니다. 공사가 끝나면 현정점검과 서류를 다시 검토한 후 보조금이 지급됩니다.
긴급복지지원사업 지원대상과 내용 및 신청 방법
긴급복지지원 사업은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긴급한 도움이 필요한 국민들을 위한 제도입니다. 살다 보면 갑자기 아프거나 다칠 수도 있고, 전세 사기를 당하는 등 위기상황에 처할 수 있습니다.
freeblog-1000.tistory.com